미디어센터
[채널A] 나는 몸신이다 13회 '윤제필 원장' 출연
- 작성일
- 2015-03-18
2015.03.18 (수) 채널A 나는 몸신이다 '윤제필 원장' 출연
채널A 나는 몸신이다 프로그램에 윤제필 원장이 출연하여
출연자들의 X-ray 사진을 보며 다양한 척추 질환을 설명하고
척추 건강 자가 진단법과 간단한 속근육 스트레칭법을 소개해주셨습니다.

척추뼈는 총 26개의 뼈로 이루어져
우리 몸을 지탱하는 주춧돌 역할을 합니다.
또한 신경 다발의 통로 역할을 하면서 신경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.

<척추전방전위증>
분리증 전방전위증과 퇴행성 전방전위증이 있으며,
척추뼈가 제자리를 벗어나 앞으로 밀리면서
신경을 자극,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.
<척추관협착증>
척추 중앙 척추관, 신경근관 또는 신경 구멍이 좁아지는 질환입니다.
<목디스크>
목뼈 사이의 디스크가 삐져나와
목으로 지나가는 척추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.
<일자 목 증후군>
목뼈가 C자의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
일자로 변형된 상태입니다.

<허리 디스크 자가 진단 테스트>
발 앞부분을 들고 뒤꿈치로만 걸었을때 아프면 수술 고려
<목 디스크 자가 진단 테스트>
글씨가 잘 안써지거나 젓가락질이 힘들 정도면 수술 고려

그렇다면 과연 속근육은 왜 중요한 것일까요?
속근육이란, 우리 몸의 깊숙이 있는 근육으로
뼈를 붙잡고 우리 몸을 지탱하는 근본적인 힘을 내는 근육입니다.
때문에 척추를 잡아 주는 속근육이 튼튼해야 척추도 건강할 수 있습니다.

척추를 잡아주는 속근육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.
척추기립근, 요방형근, 장요근
그중 요통의 주 원인이 되는 장요근과 요방형근의 스트레칭 법을 알려주셨습니다.
<장요근 스트레칭 방법>
누운 상태에서 한 쪽 무릎을 굽혀서 가슴으로 당기듯 양손으로 잡습니다.
가장자리에서 잡지 않은 다리를(침대 아래로) 떨어뜨리고 살짝 누르면서 이완시켜줍니다.
<요방형근 스트레칭 방법>
옆으로 누워 깍지를 낍니다. 깍지를 낀 위쪽 겨드랑이 쪽을 한 손으로 누르고,
다른 손으로 골반 부위를 반대 방향으로 눌러 몸을 이완시킵니다.
<요방형근 셀프 스트레칭 방법>
요방형근을 혼자서 스트레칭 할 경우
상체는 고정을 시키고 오른쪽 다리에 힘을주어 오른쪽으로 틀어줍니다.
반대 방향도 마찬가지로 스트레칭해줍니다.
척추 건강의 중요성, 속근육 스트레칭의 중요성에 대해
알아볼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.
윤제필 원장님이 직접 설명해주시는 척추와 속근육 건강의 중요성에 대해
좀 더 자세히 보고 싶은 분들은
블로그나 방송을 통해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
▽▼▽채널A 나는 몸신이다 13회 윤제필 원장 출연 영상 다시 보러가기▽▼▽
▽▼▽채널A 나는 몸신이다 13회 윤제필 원장 출연 블로그 포스팅 보기▽▼▽